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하드웨어 선택 RAM편 (용량, 클럭, 호환성) PC를 구성할 때 RAM(메모리)는 시스템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AM 선택 시 알아야 할 필수 기준, 용량, 클럭, 호환성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봅니다.RAM 용량, 얼마나 필요한가?RAM 용량은 시스템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용량 가이드:사무용/인터넷 서핑: 16GB 추천게이밍 PC: 32GB 이상 권장영상 편집/디자인/AI 작업: 32GB~128GB 추천주의할 점:RAM은 부족하면 성능 병목이 발생하지만, 과도하게 많다고 해서 항상 체감 성능이 올라가진 않습니다.RAM 클럭과 램 타이밍, 어느 정도가 좋을까?RAM 클럭 속도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하며, 높은 클럭일수록 이론상 성능이 향상됩니다.클럭 기준:DDR5 기준: 6000MHz 이상 추천최신 .. 2025. 4. 28.
RTX 50시리즈 이슈, 평판, 현황 (RTX 5090, 5080, 5070 Ti, 5070, 5060 Ti, 5060 예정) NVIDIA의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RTX 50 시리즈가 빠르게 시장에 확산되고 있습니다. RTX 5090부터 5060 Ti까지는 출시 완료, 5060은 2025년 5월 공식 출시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TX 5090과 RTX 5080을 중심으로 이슈, 성능, 평판, 그리고 전체 50시리즈 현황을 정리해봅니다.이슈: 발열, 전력 소비, 가격 논란RTX 5090은 출시 직후 550W 전력 소모와 고발열 이슈로 주목받았고, RTX 5080은 기대보다 높은 초기 가격(1,299달러)으로 일부 유저들의 실망을 샀습니다.주요 이슈 요약:RTX 5090: 550W 전력 소모 → 고출력 PSU 필수RTX 5080: 가격 상승 논란, 가성비 기대 대비 아쉬움둘 다 성능-소음-전력 관리에서 상위권 유지성.. 2025. 4. 27.
하드웨어 선택 파워서플라이편 (정격 출력, 효율 인증, 모듈러 구성) PC를 구성할 때 가장 간과하기 쉬운 부품 중 하나가 파워서플라이(PSU)입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시스템 보호를 위해 파워서플라이는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핵심 부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좋은 파워서플라이를 선택하는 기준을 정격 출력, 효율 인증, 모듈러 구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정격 출력은 어떻게 계산하고 확인해야 할까?파워서플라이를 고를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정격 출력(W)입니다. 정격 출력은 말 그대로 해당 파워가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용량을 의미하며, 단순히 "최대 출력"으로 표시된 저가형 제품과는 구분됩니다.정격 출력 계산 예시:중급 게이밍 PC (RTX 4070 + i5) → 650W하이엔드 게이밍 PC (RTX .. 2025. 4. 27.
게이밍 최강 9800X3D와 RTX 5090의 실제 성능은? (벤치마크, 전력 효율, AI 성능) 2025년, 게이밍 PC 시장에서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조합은 단연 AMD Ryzen 7 9800X3D와 NVIDIA GeForce RTX 5090입니다. 두 제품 모두 이전 세대보다 뛰어난 성능, 전력 효율, AI 기반 기능까지 갖추며 게이머는 물론 영상 편집자와 스트리머들까지 만족시키는 궁극의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제품의 게임 성능, 발열 및 전력 효율, 실사용 AI 기능까지 전반적인 퍼포먼스를 분석해봅니다.AMD Ryzen 7 9800X3D: 게임에 최적화된 3D V-Cache의 정점AMD는 3D V-Cache 기술을 통해 게이밍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최신 Ryzen 7 9800X3D는 Zen 5 아키텍처 기반 + 3D 캐시 탑재로 실제 게임에서 IPC 향상.. 2025. 4. 24.
대만 TSMC의 성공과 삼성 파운드리의 나아갈 방향은? (첨단 공정, 고객 유치, 기술 리더십)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파운드리 분야의 양대 축은 TSMC(대만)과 삼성전자(한국)입니다. TSMC는 압도적인 점유율과 기술 신뢰성으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은 공격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로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SMC의 성공 요인과 삼성 파운드리의 미래 전략, 그리고 향후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의 방향성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TSMC의 성공 비결: 전문화, 신뢰, 생태계TSMC는 전 세계 반도체 설계 회사들의 ‘제조 파트너’로서 30년 이상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특히 애플, AMD, NVIDIA, 퀄컴, 미디어텍 등 팹리스(설계 전문) 고객을 중심으로 탄탄한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TSMC의 핵심 경쟁력:‘Pure Foundry’ 전략: 자체 제품이 없어 고객과 완전한 분.. 2025. 4. 23.
한국 vs 미국 하드웨어 기술력 (반도체, 시스템 설계, AI 칩) 2025년 현재 세계 하드웨어 시장은 한국과 미국이 나란히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와 제조 기술에서, 미국은 설계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도체, 시스템 설계, AI 칩 기술력을 중심으로 한국과 미국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반도체 제조: 한국의 미세공정 vs 미국의 파운드리 전략한국 (삼성전자, SK하이닉스)D램·낸드 분야에서 세계 점유율 1위 유지삼성전자: GAA 기반 2나노 공정 개발 중, EUV 양산 라인 운영하이닉스: HBM4 개발 선도, NVIDIA와 AI 서버 협업 확대미국 (인텔,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등)인텔: 자체 제조 + 파운드리 전환 전략, 20A 공정 준비 중마이크론: 고성능 낸드와 DDR.. 2025. 4. 23.